본문 바로가기
단상잡문

내가 생각하는 장(長) e.

by 백대현 2015. 7. 30.

내가 생각하는 장(長) e.



그러지... 일을 하는 데 있어서 공과 사를 정확히 구별하여 언행하는 것은 조직 내에서뿐만 아니라 삶 자체의 기본과 우선이 되어야 해. 해당 장(長)이 내 자신의 일로 인해 조직을 등한시하면 그 조직은 소리 없이 쇠퇴하거나 무너져 가고 있는 거라고 봐도 무방해. 하고자 했던 일을 그 결과와 상관없이 성패 유무를 제대로 파악하고 마무리하는 것은 내 다음 세대를 위함이고 기존에 있던 것이나 기존에 없던 것을 창조 및 개척 정신으로 조직의 발전에 접목시키는 것은 조직을 위해 항상 생각하고 있다는 말이 되는 거지. 그런 장들이 나서야 어떤 조직이든 성장하게 되는 것이야...

그런 무거운 책임감 때문에 교회 공동체의 장을 겸손이라는 핑계로 받지 않으려고 하는 것인가요?

그건 내가 쉽게 할 수 있는 말은 아닌 거 같아... 성경에도 그런 비슷한 내용 즉 직분에 대해 나온 것을 본 거 같은데 다만 신앙의 척도를 떠나 현재 교회 내의 기준에서 말하자면 최고의 리더가 여기서 말하는 최고의 리더란 하나님을 말하는 것인데. 그 자리를 맡긴다는 것은 해당 조직이나 모임에서 그나마 가장 근접한 능력과 자질이 있다고 보면 되는 것이지.

해당 조직이나 모임에서 그나마 가장 근접한 능력?

응. 바로 그거야. 그런 자가 각 기관을 맡았을 때. 서두에서 말했던 리더의 본분을 어찌 쓰느냐가 그 기관의 미래를 좌지우지 하게 되는 것이지. 하나님 나라가 지금보다 더 확장되느냐 마느냐 그것을 말하는 거지.

만약, 님이 경험하지 못한 기관의 장을 맡게 된다면 그 순서를 어찌 밟을 건가요?

여태 말한 내용대로야. 그것이 내가 생각하는 매니저든 리더든 크고 작은 조직이나 모임을 맡았을 때 그대로 한다는 말이지. 우리를 창조하신 하나님은 우리에게 무한한 능력을 주셨어. 비록 부족한 내가, 네가 어느 장을 맡든 능력이 있어서 맡는 게 아니라 내게 장 자리를 준 그 분의 뒤를 믿고 스스로 능력을 키워서 해당 장의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가 중요해. 그래서 인간은 하루하루 공부해야 하는 거고 내가 맡은 책무를 다하기 위해 지금도 숨을 쉬고 있는 거야. 우리가 사는 동안 훌륭한 장을 만나는 것도 행운이라면 뛰어난 장을 만들기 위해, 뛰어난 장이 되고자 노력하는 것. 특히 누군가를 뛰어난 장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서 그가 진정 탁월한 리더로 탄생하게 하는 것도 내게는 행운이 되는 것이야...

님이 말을 듣고 보니, 그것이 내가 낮아져서 남을 돋보이게 하는 것이고 그것으로 인해 나도 어느 위치에 올라가는 순리를 말하는 거군요. 그러고 보니 예수님이 짧은 생애 동안 높은 자리에서 내려와 어리석은 인간에게 무엇을 행하였는지 알 수 있을 거 같아요. 세상적인 사람들에게 그런 기대를 하기에는 좀 멀게 느껴지지만 님이나 저 같은 신앙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지금 교회의 중요한 자리에서 여러 직분을 감당하고 있는 사람들은 예수님의 리더십을 꼭 가슴에 남겨야 할 거 같아요.

그래. 자네 말이 옳아. 누구를 탓하기 전에 자네나 나부터 지금 맡은 일을 제대로 하고자 노력하면 되는 거지... 그게 내가 생각하는 장(長)이야...

...e

백대현.

'단상잡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로했던 연말연시 2.  (0) 2015.07.30
피로했던 연말연시 1.  (0) 2015.07.30
내가 생각하는 장(長) 5.   (0) 2015.07.30
내가 생각하는 장(長) 4.   (0) 2015.07.30
내가 생각하는 장(長) 3.   (0) 2015.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