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재숲54

가장 합당(合當)한 것 /백대현 가장 합당(合當)한 것 철학자 디오게네스(Diogenes)는, 알렉산더 대왕이 ‘당신의 소원이 무엇인가?’라고 물었을 때 ‘햇볕을 가리지 말아 주시오.’라고 답했다고 한다. 대왕은 그런 디오게네스를 존경하고 부러워했다는 통설이 있다. 모 학자는, 인간이 자신감을 갖게 되거나 열등감에 .. 2019. 8. 10.
타인들이 보고 있을 것 /백대현 타인들이 보고 있을 것 페르소나(persona)는 고대 서양에서 배우들이 썼던 가면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 나의 다른 모습 즉, 타인의 눈에 비치는 실제와 다른 나의 모습을 일컫는다. 현대 사회에서 페르소나가 주로 드러나는 곳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다. 사람마다 자신의 .. 2019. 8. 7.
사랑을 하면 /백대현 사랑을 하면 하늘에서 아래를 보면 사람들은 점(點)의 집합(集合)이다 땅에서 옆을 보면 그 사람은 점 중에 하나다 마음에서 속을 들여다보면 나도 점이다 그렇다면 점은 무엇이고 또 누구인가 답은 사랑 안에 있다 점 옆에 사랑이 있고 점끼리 사랑해야 한다 사랑을 하면 다른 점도 같은 .. 2019. 8. 6.
생기기 시작한다는 것 /백대현 생기기 시작한다는 것 철학을 한다는 것은, 동물과 신(神) 사이에서 인간이 가야 할 길을 앞에 두고 고민하고 방황하는 진솔한 자세다. 인간은, 나이 숫자가 늘어가면서 인간의 한계를 직시하고 신이 있는 방향으로 걸음을 옮긴다. 이것은 온전한 나를 찾기 위한 참모습이다. 하지만 나이.. 2019. 8. 4.
결과가 나와야 한다는 것 /백대현 결과가 나와야 한다는 것 교육(敎育)의 사전적 정의는, ‘지식과 기술 따위를 가르치며 인격을 길러 줌.’이다. 교육을 철학적으로 정의하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유대인 교육의 우수성을 가르치고 있는 B 교수는, ‘가르치기 위해선 배워야 하고 배운 것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내 것으로 .. 2019. 8. 3.
진정한 성공을 이룬 것 /백대현 진정한 성공을 이룬 것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인생을 실패하는 길은 여러 갈래지만 인생의 성공하는 길은 한 곳에 있다.’라고 말했다.성공을 꿈꾸고 있는 자에게 주는 삶의 방향과참된 성공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는인간이 왜 철학을 해야 하는지   필연성을 담고 있는 말이다.철학을 한다는 것은,인간의 본질, 삶, 문제 등을 두고고뇌하는 모양새를 의미한다.의미를 좁혀서 나를 대입해 보면,‘나는 누구이고나는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며살면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문제에 대해질문하고 답을 찾아서 해결해 나가야 한다.’다.철학이라는 길에 서면,나와 나 자신의 문제에 먼저 접근해야 하고답을 알기 위해 몸부림치다 보면자연스럽게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게 된다.이것이 사랑이다. 사랑을 실천하다 보면,나와 너의 마.. 2018. 1. 27.
최우선 순위에 두었으면 /백대현 최우선 순위에 두었으면 또 한 명의 가장이 생활고를 비관(悲觀)해서 가족을 죽이고 자신도 죽으려다 붙잡힌 참담한 뉴스를 들었다. 생의 절망 때문에 연이어 죽음으로 이어지는 사건 사고는 참으로 안타깝다. 뉴스를 접하면서 두 가지가 문득 생각났다. 하나는, 중국 고전 중에, 인생 처.. 2015. 8. 3.
커피 한 잔 값에도 밀리는 책 /백대현 커피 한 잔 값에도 밀리는 책서른을 코앞에 둔 숙녀에게,“한 달에 책 몇 권 읽니?”“책이요? 안 읽어요!”“왜에?”“한가하게 책 읽을 시간이 어디 있어요. 취업 준비도 해야 하고 알바하기도 힘든데…….”“아까부터 스마트폰으로 계속 게임하더구먼. 책 읽을 시간은 없다는 거야?”“…….”○님의 책에 이런 내용이 있다.‘우리는 보통 오천 원짜리 커피를 사서 마시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하지만 커피 두세 잔 값인책 한 권 사는 것은 주저한다. 왜 그럴까?’위 책의 표지 글을 보면,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은 질문이 있다. “세상이 너무 바쁘게 돌아간다고 생각하니? 그렇다면 잠깐 멈추고 네 자신에게 물어봐지금 네 마음이 바쁜 건지 세상이 바쁜 건지?”그 숙녀에게 눈으로 말해 주었다.‘친구들과 하루에도 몇 잔씩 마시.. 2015. 8. 1.
새벽이 빨리 오기를 바란다면 새벽이 빨리 오기를 바란다면 의족을 끼고 마라톤을 완주한 사람에게 인터뷰를 했다. "불편한 몸으로 건강한 사람도 하기 힘든 마라톤을 왜 구태여 하는 가?" 그는, "하나밖에 없는 어린 아들이 나로 인해 절망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라고 답했다. 절망(絶望)은, 우리 인간을 가장 처참.. 2015.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