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교육115 백대현, 달려왔다!! 달려왔다!! ‘글쓰기’에 각자 다른 기대와 목표를 갖고 20회 동안 달려왔다. 마지막 주제인, ‘삶의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를 돌아가면서 낭독했다. 듣는 내내 가슴이 뭉클했다. 내 이미지를 손수 그려 액자에 넣어 준 분, 금전수로 마음을 표현한 분 등 함께 공부했던 천사 분들께 감사할 따름이다. 2023. 9. 15. 백대현, 감출 수 없었다!! 감출 수 없었다!! 수강생들과 ‘그동안 글을 써보니 어떠세요? 글을 쓰는 동안 삶의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란 두 가지 물음을 놓고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H수강생이, ‘10년 후 나는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 주제로 글을 쓰면서 이런저런 사정으로 미루었던 일을 과감히 도전해서 열매를 맺었다고 했다. 여기서 일일이 거론할 수 없지만 그들의 변화를 듣는 내내 강사로서 흐뭇한 마음을 감출 수 없었다. 어느 철학자가, “생각은 행동으로, 행동은 습관으로, 습관은 인생을 바꾼다!”라고 말한 것처럼 이들 모두, 글쓰기가 일상이 되어 인생의 꽃을 피웠으면 좋겠다. 2023. 9. 7. 백대현, 두 번 남았다!! 두 번 남았다!! 개강 하루 전, 29명으로 마감하고 현장을 확인하기 위해 도서관에 갔다. 강의실 책상과 의자 수를 세는데 벨 소리가 울렸다. “마감이 끝난 것으로 아는 데 지금 신청해도 되는가?”라는 문의였다. 30명이 완전수 같아 흔쾌히 수락했다. 이렇게 시작된 글쓰기 프로그램 가 18회 끝나고 두 번 남았다. 돌아오는 길, 이른 갈바람 때문인가? 긴팔 와이셔츠가 생각났다. 2023. 9. 1. 백대현, 되고 싶다!! 되고 싶다!! 평생 동안, 책 만드는 일과 글 쓰는 일로 살았다. 남은 시간도 그리 살다가 검은 바람이 되고 싶다. 내가 만들고 쓴 글을 두고 후대가, ‘나에게도 이런 조상이 있었구나…….’ 이 정도면, 단 한 번의 삶이지만 만족할 것 같다. 수강생들도 그 의미를 알고 실천했으면 좋겠다. 2023. 8. 22. 백대현, 북쪽으로 달아났다!! 북쪽으로 달아났다!! 차 문을 여는 순간, 태풍 카눈이 우산을 낚아채서 겉옷과 구두가 젖었다. 문단(단락)을 공부하는 중요한 날인데 마음이 개운치 않았다. 그러잖아도 2주간 휴강이, 공부하는 사람들의 출발을 망설이게 할까 염려했는데 아예 카눈이 그들의 걸음을 막을 것 같았다. 그러나 기우였다. 글쓰기를 사랑하는 그들의 열정에 오히려 카눈은 북쪽으로 달아났다. 2023. 8. 11. 백대현, 제자리로 돌아왔다!! 제자리로 돌아왔다!! 오전 열시다. 땡볕과 더위는 이미 절정이다. 동네 모든 사람이 이곳에서 휴가를 보내는 것 같다. 주차할 곳이 없어서 건물 주위를 삼십 분이나 돌았다. 남의 가게 앞에 간신히 주차하고 뛰어 올라갔다. 수업 시작한 지 십여 분에 이동하라는 연락을 받았다. 뜀박질하는 동안, 머리 온도가 저 태양과 맞닿았다고 생각했다. 돌아와, 장난꾸러기 아이들을 보면서 온도가 제자리로 돌아왔다. 2023. 8. 8. 백대현, 자못 궁금하다!! 자못 궁금하다!! 『노인과 바다』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모든 초고는 걸레다!”라고 말했다. 그는 수상작을 이백 번 넘게 수정했다고 한다.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개미』를 내놓기 전에 10여 년 동안 수없이 고쳤다고 한다. 여덟 가지 주제로 글을 쓴 분들에게 대작가들의 말을 빌려, 당신들의 글은 걸레니 지금부터 다이아몬드로 만들기 위해 ‘고쳐쓰기’를 해야 한다고 했다. 그들이 어떻게 할지 자못 궁금하다. 2023. 7. 6. 백대현, 후배들 앞에 섰다!! 후배들 앞에 섰다!! 이지선 선생님은, 시집 『배낭에 꽃씨를』, 『비껴간 인연』 에세이집 『아름다운 이별』, 『내가 만난 하느님』 등 주옥같은 작품을 출간한 시흥시 대표 문인이다. 선생님이 작가를 꿈꾸는 후배들 앞에 섰다. 글을 쓰게 된 계기, 첫 작품이 세상에 나왔을 때의 소회 등을 전하면서, ‘글쓰기가 나를 정화시키거나 성화시킨다.’란 말로 강의를 마무리하셨다. 2023. 6. 29. 백대현, 흐뭇하게 바라본다!! 흐뭇하게 바라본다!! 소크라테스(Socrates)가 ‘성찰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고 말했다. 성찰은, ‘이 순간을 기준으로 지나간 일을 되돌아보며 반성하고 살피는 것.’이다. 인간은 허물투성이고 실패도 반복하기 때문에 성찰하지 않으면 태양 보기가 힘들다. 각자 뽑은 질문을 통해 내 마음의 씨를 진솔하게 뱉어 낼 때마다 태양이 이들을 흐뭇하게 바라본다. 2023. 6. 22. 서원산책 7호, "오늘날 청소년에게 전해지면 좋을 서원의 전인교육' 인터뷰 영문-백대현 https://www.youtube.com/watch?v=zzsLrP-xgNs&t=49s 2023. 6. 20. 백대현, 고개를 끄떡인다!! 고개를 끄떡인다!! 머뭇거리던 분도 마음의 문이 조심스럽게 열린다. 살아온 동안, 내 마음 안에 자의 반 타의 반 쌓아 둔 크고 작은 수많은 회색 알갱이들... 그중에 하나가 꿈틀댄다. 입술 밖으로 나온다. 그 순간,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로 고유의 빛깔로 사방에 퍼진다. 모두가 하얀 미소를 지으면 고개를 끄떡인다. 2023. 6. 15. 백대현, 늘어야 한다!! 늘어야 한다!! 얼마 전, 『서원산책 7호』 인터뷰에서 ‘학교는 아이들 각자의 정체성을 찾게 하는데 중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하늘이 그 말을 듣고 K중학교로 보냈다. 수많은 직업 중에 글 쓰는 ‘작가’가 무슨 일을 하는 것인지 그리고 왜 글을 써야 하는지를 온 힘을 다해 전했다. 이런 자리를 준비하는 학교가 늘어서 다음 세대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선물했으면 좋겠다. 2023. 6. 9. 백대현, 두 시간을 기다린다!! 두 시간을 기다린다!! 첫날, 이분들에게 큰소리쳤다. 나를 만난 건, 당신들에게 행운이 될 거라고 오늘, 말을 바꿔 솔직히 고백했다. 지금은 내가 더 행운아라고 글과 책을 좋아하는 분들은 한 명도 예외가 없이 하얀 목련처럼 고운 분들이다. 매주 이 두 시간을 기다린다. 2023. 6. 2. 서원산책 7호, "오늘날 청소년에게 전해지면 좋을 서원의 전인교육' 인터뷰-백대현 https://youtu.be/Jhi96Nv7r2U 2023. 5. 25. 백대현, 미래 작가들이다!! 미래 작가들이다!! 미래 작가들이다. 그들이 제출한 글을 하나하나 읽을 때마다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이미 서너 명의 글 내용은 기성 작가에 뒤지지 않았다. 가슴속에 큰 감동을 주는 이런 글들을 포기하지 말고 계속 썼으면 좋겠다. 공개해도 좋다는 몇 분의 글을 하나도 빠트리지 않고 나의 소감을 그대로 전달했다. 2023. 5. 19.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