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43 지금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3. 지금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3. 우리 나이는 세상 모든 사람들의 생각과 논리를 최대한 차용하여 나만의 가치관으로 정립한다거나 정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나만의 가치관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유명인들만의 생각을 무조건 따라가야 하는 맹목적 보단 그 유명인들에게서 좋은 점을 .. 2015. 7. 18. 지금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2. 지금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2. 그런 밑천이 글에서 피력되다보니 가끔은 여러 사람들에게 오해를 받기도 한다. 아래 내용을 그들이 본다면 오해를 불식(拂拭)시킨다거나 댓글을 올리는데 참고사항이 될 수 있을까? 첫째, 기독교적인 가치관 나는 나의 신앙심의 깊이와 상관없이 어느 누.. 2015. 7. 18. 지금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1. 지금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1. 인류학자 헬렌 피셔는 자신의 책에 ‘인간은 애초부터 사랑에 빠지지 않고는 살 수가 없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라고 기술했다. 단 한 줄의 글에서 나는 그녀와 동일한 사고주의자라는 것을 느꼈다. 얼른 그녀의 책을 펴서 앞부분을 심독(心讀)하기 시작.. 2015. 7. 18. 화두(話頭) e. 화두(話頭) e. 사람마다 위 내용은 다 동일할 것이라는 생각이다. 어느 유명인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사람들의 얼굴이 제각각이듯 사는 것도 제각각 틀릴 것이다. '먹고 잠자는 건 같은데 사는 방식은 틀릴 수 있다?!!!' 나는 상투적(常套的)인 위 결론을 통해 뭇사람들의 사는 방식에 대한.. 2015. 7. 18. 화두(話頭) 1. 화두(話頭) 1. 가을을 탄다? 이 말이 맞나? '가을을 탄다' 란 문장보다는 '가을 분위기에 도취(陶醉)된다' 가 더 어울리는 문장이 아닐까? 도취란 단어에는 술 주(酒)자가 숨어 있어서 술에 취해서 무언가에 흠뻑 빠진 누군가의 모습. 고로 가을에 취한 모습이 연상되는데. 어때?? 주어에 나를 .. 2015. 7. 18. 란(蘭)과 초(草) e. 란(蘭)과 초(草) e. “친구가 가을이라고? 친구가 있다는 것은 기쁨인데 왜 하필 가을이야? 너무 쓸쓸한 표현이잔어?” “우리네 인생도 가을과 같아... 길게 느껴지는 시간 같지만... 한 순간 밀려 버리는... 친구도... 영원한 친군 없어... 가을처럼... 스러져 가거든.... 지금 우리네처럼...” .. 2015. 7. 18. 란(蘭)과 초(草) 1. 란(蘭)과 초(草) 1. 나는 가을을 좋아하면서도 가을만큼은 빨리 가기를 소원하는 아이러니(Irony)한 사람이다. 아마도 예민했던 학창시절 때의 일이 가장 큰 원인이 된 거 같다. 우리 또래에게 최고 인기 작가였던 유모님이 쓴 ‘지란지교(芝蘭之交)를.....’ 를 읽어 나가면서 풋내기 인생얘.. 2015. 7. 18. 오버맨(Over Man) e. 오버맨(Over Man) e. 여자이야기 '이혼편' 을 참고하여 보면, 여자들이 이혼을 결심하는 동기에는 남편과의 불화, 시부모와의 갈등, 성격차이, 속궁합, 경제적인 문제 등이 그것이란다. 반면 이혼을 미루는 가장 큰 이유는 대부분 자녀 때문이라고 한다. 물론 요즘 들어와서는 여자들의 가치관.. 2015. 7. 18. 오버맨(Over Man) 1. 오버맨(Over Man) 1. 모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다가. 나는 편하게 말을 한다고 꺼낸 것이 그 친구에게는 가슴 아픈 일을 떠올리게 하는 실수를 범했다. 그땐 얼굴이 화끈거려 얼른 도망가고 싶었지만 속이 넓은 그 친구는 괜찮다는 말로 나의 허물을 덮어 주었다. 나는 나 자신을 반성하는 시간.. 2015. 7. 18. 자기 규칙 e. 자기 규칙 e. 현재 내가 살고 있는 자리에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에서도 사랑은 예외없이 실천되어야 한다. 모래와 같은 찰나적인 나의 일생 동안 만나는 모든 인연에 대해 사랑으로 대하여야 한다. 다시 몇 번이고 반복하는 말이지만, 사이버는 결코 환상이 아니다. 내 인생 현실.. 2015. 7. 18. 자기 규칙 6. 자기 규칙 6. 자신의 일상을 올리기 싫다면, 누군가가 애써 올린 글이나 퍼온 글에 무관심으로 일관하기보다는 '세상 사람들에게 양식을 전하는 글이구나' 하는 넓은 마음을, 나의 생각을 남겨보자. 위와 같은 자신의 말과 행동 하나하나는 자기만의 규칙을 세상에 알리는 것이다. 각자 자.. 2015. 7. 18. 자기 규칙 5. 자기 규칙 5. 사회에서 절대적 인정을 받지 못하는 이들(1% 부족한 사람들 아니, 모든 인간은 부족한 사람들이다.)이 여기에 있다. 인간은 다방면에서 다 인정받지 못하는 법. 그렇다면 사이버에서 인정 받는 방법을 함께 찾아보는 것도 중요하리라. 내가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사이버에서.. 2015. 7. 18. 자기 규칙 4. 자기 규칙 4. 전에 올린 글을 전부 읽어 본 사람들이라면, 내가 나의 성향을 스토아주의와 회의주의적인 바탕을 갖고 있다고 말한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두 이론에는 나 자신의 문제가 아주 깊숙이 직접 관여되어 있다. 여기서 관여란, ‘인간은 어미 뱃속에서 나올 때부터 죽음을 맞이하.. 2015. 7. 18. 자기 규칙 3. 자기 규칙 3. 어떤 대화법을 사용하든지 그것은 중요치 않을 것이다. 다만, 대화를 나눌 때 이론과 경험 등이 자신 스스로 확실하다고 믿는 사람일수록 상대편의 말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 경우가 높다는 말을 하고 싶다. 예를 들면, 사이버 생활을 오래한 사람일수록 사이버에 대한 확고한 .. 2015. 7. 18. 자기 규칙 2. 자기 규칙 2. 새로운 사람들이 며칠 간격으로 들어오고 때로는 나가고 있다. 새로운 회원이 들어오면 나는 소위 작업(?)을 해서 그들을 알고자 노력한다. 서툰 작업 기술로 인해 본의 아니게 오해나 곤란한 입장에 처한 적도 있었지만 나는 나의 언행에 대해 후회하지 않으며 누가 뭐라 하.. 2015. 7. 18. 이전 1 ··· 69 70 71 72 73 74 75 ··· 77 다음